무너지는 헝다, 한국인 인재 '유턴' 전망은

중국 2위 부동산 개발업체인 헝다그룹(영어명 에버그란데)이 최근 도산 위기에 처했습니다. 헝다그룹은 올해 초까지만 해도 포춘이 발표한 글로벌 500대 기업 리스트 중 122위를 기록할 정도로 승승장구를 거듭했지만, 고수해 오던 문어발식 확장이 중국 정부의 대출 규제 정책에 가로막히며 사상 초유의 위기를 맞이하게 됐습니다.

헝다그룹이 감당해야 할 부채는 현재 약 3000억 달러(약 356조원)에 달하며, 이는 중국 국내총생산(GDP) 대비 2% 정도에 가까운 규모입니다. 헝다그룹 채권은 채무불이행(디폴트)을 각오해야 할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주가 역시 올해 들어 80% 가까이 폭락했습니다. 이들은 얼마 전 홍콩 부동산 중개회사 센탈린으로부터 수수료 310만 홍콩달러를 지급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소송을 당했는데요. 한화로 환산하면 불과 5억도 되지 않는 돈 때문에 벌어진 법정 공방이, 헝다그룹의 현 상황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헝다그룹의 주요 계열사 중 하나인 헝다자동차도 자연히 상황이 위태로워졌는데요. 2018년부터 전기차 브랜드 ‘헝츠’를 앞세워 전면 부상했던 이 회사엔 한국인 임직원도 여럿 근무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대부분은 2018~2019년 즈음 전기차 시장이 폭발적인 성장을 거듭할 때 스카웃 제안을 받아 옮긴 이들이라 합니다. 그러나 그룹이 맞닥뜨린 위기와 더불어 헝다자동차의 미래 또한 급격히 불투명해지며, 중국행을 택했던 전기차·전기배터리 전문가 일부가 국내 복귀를 타진 중이라는 소문이 도는데요.

2021일 상하이모터쇼 당시 헝다자동차 전시 모델. 그러나 이 모델이 세상 빛을 보는 일은 없었습니다./Flickr

전반적인 채용 시장 분위기만 놓고 보자면, 바깥을 떠돌다 회귀하는 재입사자는 대체로 환영 받는 편입니다. 사람인이 지난해 11월 기업 389개사를 대상으로 ‘재입사 직원 여부’를 조사한 결과, 56.8%가 ‘유턴’을 택한 직원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응답한 기업 중 49.4%는 회사 쪽에서 먼저 재입사를 제안한 경험도 있다 답했습니다. 복귀를 권한 이유로 가장 많이 꼽힌 이유는 ‘추가 검증이 필요 없어서’(38%, 복수 응답 가능)였습니다.

/사람인에이치알

인재들 역시 넷 중 한 명은 떠났던 직장에 되돌아갈 뜻이 있다 합니다. 지난 2018년 5월 사람인이 이직 경험이 있는 직장인 646명을 대상으로 ‘이전 직장 재입사 희망 여부’를 물은 결과, 28%에게서 ‘의향이 있다’는 답을 받았습니다. 전체 응답자 중 48.8%는 실제로 이전 직장에서 재입사 제안을 받은 적이 있다고도 했고, 정말 옛 직장에 다시 들어간 경험이 있는 직장인도 전체 응답자 중 15.9%에 달했습니다.


그러나 중국 이직자의 복귀는 좀 다른 문제입니다. 중국 기업 대부분은 한국 동종업계 ‘경쟁사’로부터 인재를 수집했으며, 이에 응해 터전을 옮긴 임직원은 고국으로 돌아오더라도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송사에 휘말릴 리스크가 다분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지난 2018년 7월 특수소재 전문기업 A사 전 기술직원이 회사 핵심 산업기술을 빼돌려 이직한 중국 경쟁업체에 넘겨주고 억대 연봉을 받은 혐의(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업무상 배임)로 불구속 입건 당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경찰에 따르면 과장급 기술직원으로 근무했던 김씨는 A사의 최첨단 디스플레이용 기판유리 생산 공법의 수치나 내용을 발췌·정리해 임원으로 이직한 중국 경쟁사에 넘겨주거나, 자신이 암기한 영업비밀을 누설한 혐의를 받았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지난 2013년에도 스테인리스 와이어 생산기술을 중국 경쟁업체로 유출한 혐의(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로 한국인 2명이 불구속 입건됐습니다. 이들은 한국 기업인 B사에서 각각 판매팀장과 미국공장장으로 근무하던 중 중국 내 경쟁업체로부터 사장직과 부사장직을 받는 대가로 영업비밀을 유출한 혐의를 받았습니다.

이 둘은 중국 경쟁사로부터 연봉 1억6000만원과 연봉의 12%에 달하는 보너스를 받는 조건으로 이직 제안을 받았고, 이동식 저장장치에 작업 표준서, 매출 정보 등 B사의 생산기술과 영업비밀을 내려 받은 뒤 직장을 옮긴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경찰은 "중국 경쟁업체로 이직한 직원이 내부 자료를 가져간 흔적이 있다는 제보를 받고 증거를 확보한 뒤 추석을 맞아 귀국하는 이들을 검거했다"고 밝혔습니다.

국회도 핵심기술 해외유출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중국 경쟁사로 넘어간 인재가 유턴을 택하기는 한층 더 어려워질 전망입니다. 황운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가 핵심 기술의 해외 유출 시 법정형을 현행인 3년 이상 유기 징역에서 10년 이상으로 높이는 개정안을 발의했습니다. 같은 당 소속인 송기헌 의원도 산업 기술 해외 유출 시 신상 정보를 공개하고 손해배상액 한도를 현행인 손해액의 3배에서 5배로 상향하는 법안을 발의했습니다.

Writer

THE PLLAB INSIGHT
지식과 정보가 즐거움이 되는, 더플랩 인사이트
작성글 보기

Reply 0

Best 댓글

댓글

해당 게시물에 댓글이 없습니다.
0/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