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L:LAB INSIGHT
로그인
INSIGHT
CONNECT
INDEPTH
Contact us
THE PL:LAB
구조조정
3
정렬 방식
최신순
추천순
카테고리별
News
복합위기 시대 극복, HR에서 답을 묻다 ② 구조조정의 역습
11월, 글로벌 SNS 기업인 트위터(Twitter)와 메타(Meta)로부터 충격적인 소식이 순식간적으로 전 세계에 확산되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촉발된 ‘비대면 경제'로 사상 초유의 실적을 기록한 글로벌 IT기업들의 기쁨은 잠시, 갑작스럽게 시작된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환율 및 금리 인상으로 인한 경제 위기로 사상 초유의 주가 하락과 구조조정을 실시하였다. 트위터(Twitter)는 11월 4일 새벽에 직원의 절반인 3,700명을 해고하였으며, 경쟁기업은 메타(Meta) 역시 직원 13%인 11,000명을 해고하였다. 트위터(Twitter)를 인수한 일론 머스크는 직원 중 절반을 해고한 이유를 ‘적자’로 밝혔다. 하루에 4백만 달러 이상의 손실이 나기 때문에 대량 해고는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메타(Meta)의 CEO인 마크 저커버그는 “메타(Meta)의 역사상 가장 큰 변화를 알린다”라며 “슬픈 순간이지만 다른 길은 없다.”라고 밝혔다. 메타(Meta)는 페이스북에서 사명을 변경하는 등 혁신을 위하여 노력하였으나, 틱톡(Tiktok)과 같은 다른 소셜 미디어들과의 경쟁 격화, 디지털 광고시장의 위축, 메타버스 투자에 따른 비용 급증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한 미국의 핀테크 회사인 스트라이프(Stripe)는 직원 14%를 감축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미국의 IT기업들의 구조조정이 폭풍처럼 몰아치고 있다. 이러한 구조조정은 단순 IT업계뿐만이 아니라, 다른 분야로도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플랫폼 및 비대면 경제사회 진입에 따른 ‘정보의 투명성(Information Transparency)'은 다양한 경쟁자들의 새로운 시장 진입을 용이하게 만들고 절대적인 수익의 안정성과 독점성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더욱 가속화 시키고 있다. 제로섬(Zero-sum) 게임에서 누군가에게는 이득이겠지만 다른 플레이어에게는 손실을 볼 수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세계 IT 기업들의 감원 현황을 집계하는 플랫폼 ‘레이오프 추적기(Layoffs. fyi Tracker)’ 데이터에 따르면 2022년 현재 766개 스타트업에서 약 11만 명의 인력 구조조정이 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메타(Meta)를 비롯하여 부킹닷컴, 우버 등 글로벌 대표 IT기업 중심으로 수 천명 이상 구조조정을 시행했거나 시행하고 있다. 지금까지 저금리에 따른 풍부한 유동성을 기반으로 외부 투자금은 쉽게 차입할 수 있었으나 최근 경제 위기 환경에 따른 금리 인상과 인플레이션 여파에 긴축 기조로 돌입하면서 경영의 위기를 불러왔다는 평가이다. [글로벌 IT기업 감원 현황 표]
THE PLLAB INSIGHT
댓글
0
좋아요
3
News
여행사 직원이 절반 가까이 줄었다
코로나 19가 창궐한 이래 주요 여행사에서 직원 중 절반가량이 직장을 떠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유관 업종인 카지노·면세업계 또한 받은 타격과 후유증이 상당했습니다. 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국내 최대 여행사인 하나투어는 직원 수가 지난해 말 기준 1180명으로 한 해 전보다 무려 47.0%가 줄었습니다. 코로나 19가 퍼지기 직전인 2019년 말에 비해선 52.8% 감소한 수치입니다. 대형 여행사인 모두투어 역시 직원 수가 2019년 말 1158명에서 지난해 말 665명으로 42.6% 감소했습니다. 노랑풍선은 같은 기간 553명에서 298명으로 46.1%, 참좋은여행은 374명에서 242명으로 35.3% 줄었습니다. 이들 주요 4개 여행사 직원을 모두 더한 수는 2년 전보다 약 48.0% 감소했습니다.
THE PLLAB INSIGHT
댓글
1
좋아요
1
Work & Life
퇴직해도 23년은 더 일해야 한다
직장인의 주된 퇴직 시기와 노동시장에서 실질적으로 벗어나는 연령대가 23년 가까이 차이가 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몸담은 회사를 떠나더라도 제법 오랜 기간 동안 어떤 식으로든 경제 활동을 지속해야만 한다는 것입니다.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는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투자와연금리포트 54호 ‘늦어지는 은퇴, 생애주기수지 적자에 대비하라’를 발간했다고 8일 밝혔습니다. 리포트에서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퇴직·은퇴 동향을 분석한 결과 2021년 기준 55~64세 연령층의 주된 일자리 퇴직 연령은 평균 49.3세, 평균 근속기간은 12.8년으로 측정됐습니다. 주된 일자리 퇴직 시 평균 근속기간은 10년 전보다 1년 짧아졌습니다. 퇴직 사유 중 정년퇴직 비중은 10% 선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반면 비자발적 조기퇴직 비중은 40%를 넘어섰습니다.
THE PLLAB INSIGHT
댓글
2
좋아요
3
THE PL:LAB INSIGHT
지식과 정보가
즐거움이 되는,
더플랩 인사이트
뉴스레터 모아보기
공지사항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고객센터
사이트맵
(주)사람인HR
대표 : 김용환
사업자 등록번호 : 113-86-00917
08378,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34길 43, 201호
02 - 2025 - 0965
help@thepllab.com
COPYRIGHT(C) (주)사람인H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