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가 군 복무를 하던 시절, 중대장이 휘하 분대장들을 소집한 자리에서 뭔가에 실망했다는 내용으로 훈시를 하던 중, 문득 한숨을 푹 쉬더니 “그래도 이 신세가 미군 중대장보다는 낫다”는 말을 꺼낸 적이 있었습니다. 미군 보병엔 교육 수준이 너무나도 떨어지는 병사가 굉장히 많아, 사병들을 정기적으로 모아 영어를 가르치는 것이 중대장의 주요 임무 중 하나라는 이유였습니다.
당시 제가 근무한 대대는 FEBA(전투지역전단) 범주에 드는 곳으로, 고졸자 비율이 거의 절반에 육박했습니다. 대한민국 육군 평균 기준으로도 지적인 부대라 말하기엔 무리가 있었죠. 그럼에도 중대장은 이따금 “많은 걸 바라지도 않는다, 너희는 적어도 내가 무슨 소리를 하는지 알아는 듣잖니”라고 말하며 위안을 삼곤 했는데요.
중대장의 말이 사실인지를 직접 확인해 볼 기회는 달리 없었습니다만. 아무튼 세상에 직장 상사가 교편을 잡지 않으면 굴러가지 못하는 조직이 존재할 수 있나 싶긴 했습니다. 암만 미군 사병의 인적 자원 수준이 바닥 밑의 바닥이기로 유명하더라도 말이죠.
하지만 요즘 세태를 보건대, 중대장의 말에 군대 특유의 상당한 과장이 섞이긴 했을지언정, 아예 없는 소리를 지어낸 수준까진 아닐 것 같다는 생각도 가끔은 들긴 합니다. 우리나라 회사에서도 ‘금일(今日)’이나 ‘익일(翌日), ‘수신’, ‘발신’, ‘참조’ 등을 알아듣지 못하는 신입사원 때문에 사고가 터졌다는 소문이 종종 들려오곤 하니까요.

실제로 사람인이 지난해 10월 기업 260개사를 대상으로 '직원 국어 능력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83.8%에서 재직 중인 직원들의 국어 능력에 '불만족스럽다'는 답변을 받았던 적이 있습니다. '작문 능력'(38.1%·복수 응답) 다음으로는 '어휘력'(37.3%)에 불만이 많았으며, '논리력'(33.5%), '맞춤법'(30.4%), '경청 태도'(26.9%), '말하기·듣기 능력'(26.2%), '독해(문해)력'(19.6%) 등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보다 구체적인 업무 관련해서는 '보고서·기획안 등 문서 작성 능력'(65%·복수 응답), '대면 보고 등 구두 의사소통 능력'(39.6%), '이메일 등 활자 소통 능력'(24.6%), '회의·토론 능력'(21.9%), '전화 의사소통 능력'(16.5%), '프레젠테이션 능력'(13.1%) 순이었습니다.
연령별 국어 능력에 대한 평균 만족도 점수는 40대(75.3점), 50대 이상(73점), 30대(72.4점), 20대(65.2점) 순으로, 대체로 나이가 어린 직원일수록 국어 능력이 부족하다는 평을 받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또한 응답한 기업 중 45.4%는 20∼30대 직원들이 이전 세대보다 국어 능력이 낮다고 했습니다. 48.5%는 '비슷하다'고 답했으며, '오히려 높다'는 응답은 6.2%에 불과했습니다.

기업이 생각하는 20∼30대 직원들의 국어 능력 저하 원인은, 첫째가 '메시지로 단문 위주 의사소통'(68.6%·복수 응답)이었습니다. 다음으로는 '활자보다 영상 위주로 콘텐츠 소비'(62.7%), 독서 부족'(39.8%), '작문 경험 부족'(38.1%), '교육 커리큘럼 상 문제'(5.9%) 등을 꼽았습니다.
지난해 9월 7일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성인 1만429명을 면접 조사해 발표한 ‘제3차 성인문해능력조사 결과’에서도 일상생활에 필요한 문해력을 갖추지 못한 ‘수준1(초등 1~2학년 학습수준)’ 인구가 약 200만1428명으로, 전체 성인 중 4.5%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기본적인 읽기와 쓰기, 셈하기는 가능하지만 일상생활에 활용하기에는 미흡한 ‘수준2(초등 3~6학년)’는 185만5661명(4.2%), 단순 일상생활에서는 불편함이 없지만 공공·경제생활에서는 어려움이 있는 ‘수준3(중학 1~3학년)’은 503만9367명(11.4%)에 달했습니다. 중학생 이하 수준 문해력으로 사회생활을 하는 성인도 아주 없진 않다는 것이죠.

상황이 이렇다 보니 중대장에게 사병 교육을 맡긴다는 소문이 들리는 미군처럼, 우리나라 기업 중에서도 회사 차원에서 임직원의 국어 능력 증진을 위해 나서는 모습도 보이곤 합니다. 사람인 설문에서도 응답한 기업 중 45%는 직원들의 업무상 국어 능력 향상을 위해 별도로 투자를 한다고 밝혔습니다.
실제 도입한 방안으로는 '보고서·기획안 작성 클래스 운영'(52.1%·복수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의사소통 코칭 운영'(37.6%), '관련 도서 구입 비용 지원'(25.6%), '프레젠테이션 클래스 운영'(19.7%), '관련 강의 수강 비용 지원'(16.2%)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